[2023 키플랫폼]특별세션1…김재수 KISTI 원장 '데이터 기반 양자기술의 미래' 발표김재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이 27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머니투데이 주최로 열린 '2023 키플랫폼' 특별세션에서 '데이터 기반 양자기술의 미래'에 대해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이기범 기자 leekb@양자기술(Quantum Technology)로 반도체 칩의 이른바 '소형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반도체 집적회로 성능은 2000년대초까지 2년마다 2배로 성장했지만 소형화 한계로 반도체 산업은 정체기를 맞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민관이 의기투합해 양자기술 확보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뒤따랐다.김재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원장은 27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머니투데이 글로벌 콘퍼런스 '2023 키플랫폼'(K.E.Y. PLATFORM 2023)에서 '데이터 기반 양자기술의 미래'를 주제로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김 원장은 "반도체 칩 소형화 한계 상황으로 양자컴퓨터가 더 주목받는다"며 "양자컴퓨터는 이전에 불가능했던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분석할 수 있어 반도체 구조 최적화 계산과 신소재 등을 발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고든 무어의 법칙에 따라 반도체 집적회로 성능은 18~24개월마다 2배 증가했지만 2000년대 초반 이후 성능 증가속도가 둔화됐다"며 "반도체 성능을 늘리려면 트랜지스터 개수를 늘려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전기 사용이 늘어나 열 증가, 반도체 간 상호간섭으로 누설 전류량이 증가해 소형화가 어려워졌다"고 말했다.